성공적인 주식투자를 위한 볼린저 밴드 변수값 설정과 이해 방법
주식시장에서는 다양한 보조지표들이 존재하는데요, 이 중에서도 이동평균선과 더불어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인 볼린저밴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식투자자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법한 이름이지만 막상 제대로 알고있는 사람은 드문데요,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두고 투자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성공적인 주식투자를 위한 볼린저 밴드 변수값 설정과 이해 방법
볼린저밴드는 어떻게 생겼나요?
볼린저 밴드는 위 사진처럼 생긴 그래프입니다. 가운데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단 폭이 다른 2개의 선이 있고, 상단/하단폭 안에서의 주가 변동성을 보여주는 차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볼린저밴드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볼린저밴드의 장점은 크게 두 가지 입니다. 첫 번째로는 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쉽다는 점입니다. 모든 종목들을 대상으로 한 통계이기 때문에 특정 섹터 또는 테마군에서만 움직이는 개별종목과는 달리 시장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기 쉽습니다. 두 번째로는 일정기간 동안의 추세를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쉽게 판단할 수 있어서 매매 타이밍을 잡는데 도움이 됩니다.
볼린저밴드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볼린저밴드의 단점은 너무 많은 정보를 담고있다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역효과가 날수도 있는데요, 예를들어 현재 단기매매를 하고있는데 볼린저밴드 상으로는 중장기 박스권 구간에 위치해서 매수타이밍이라 하더라도 실제로는 이미 고점이거나 저점이라면 의미가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볼린저밴드만을 맹신하거나 과신한다면 큰 손실을 입을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볼린저밴드 보는 방법 알려주세요!
볼린저밴드 공식을 알고 있다면 이제 직접 매매에 응용해야겠죠? 일단 저는 키움증권 영웅문S 글로벌 어플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어플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우선 왼쪽 아래 메뉴버튼을 클릭하면 오른쪽 사진과 같이 다양한 카테고리가 나오는데요, 이중 기술적분석 > 일목균형표 > 볼린저밴드 를 선택하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현재 제가 보유중인 종목 중 한가지를 골라볼게요. 삼성전자우 인데요, 이렇게 원하는 종목을 검색 후 우측상단 점 세개 버튼을 누르면 상세 정보창이 뜹니다.
좌측하단 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을 눌러주면 여러가지 항목들을 수정할 수 있는데요, 먼저 제목 부분을 보시면 'Bolinger Band' 라고 되어있는걸 보실 수 있으실텐데요, 이걸 터치하시고 원하시는 이름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한글로는 입력이 불가능하니 영어로 입력해야한다는점 잊지마세요! 이후엔 제일 아래쪽에 위치한 라인설정 탭을 누르시고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자신이 원하는 값을 입력해주시면 되는데요,
저는 5분봉상 중심선을 12500원으로 잡고 싶어서 12000 이라고 입력했습니다. 만약 10분봉이라면 1000000 을 입력하겠죠? 마지막으로 색상탭을 누르시면 총 4가지 색깔로 구분되어있는데요, 검은색:중심선 빨간색:상한선 파란색:하한선 초록색:표준편차 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 각자 취향에 맞게 변경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볼린저밴드 왜 쓰는건가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볼린저밴드는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움직인다는 전제 하에 만들어진 지표이기 때문에 추세파악에 용이한데요, 특히나 최근 몇개월간의 주가흐름을 분석했을때 큰 움직임 없이 횡보했다면 향후 방향성이 위쪽일지 아래쪽일지 예측가능하게 해줍니다.
또한 특정기간 동안의 주가범위 내에서 움직였기 때문에 지지저항선으로써의 역할도 수행하구요. 하지만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너무 좁은 구간에서의 움직임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잦은 매매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매매보다는 중장기투자시에 적합한 지표라고 할 수 있겠네요.
오늘은 볼린저밴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어떠셨나요? 도움이 되셨나요? 물론 보조지표라는건 말그대로 보조역할로써 100% 맹신해선 안됩니다. 다만 이러한 지표들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보다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겠죠?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 주식을 통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 (0) | 2023.06.27 |
---|---|
가치 투자: 저평가 주식 찾기 (0) | 2023.06.27 |
대형 기업 주식: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 (0) | 2023.06.27 |
주식투자 일봉 월봉 차트 보는법 (0) | 2023.06.27 |
주식이해를 위한 거시경제와 미시경제 둘다 중요한 이유 (0) | 2023.04.20 |
댓글